2012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12년에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에서는 스테판 흐로투이스가 새로운 포인트 기록을 세웠다. 이규혁과 모태범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부에서는 위징이 금메달, 크리스틴 네스빗이 은메달, 장훙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대회는 500m와 1000m 경기를 두 번씩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두 번째 1000m 경기에는 상위 24명의 선수만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2년 스피드스케이팅 - 2012–13년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2012-13년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은 국제빙상경기연맹 주최 대회로, 이상화, 모태범 등 대한민국 선수들이 여자 500m, 남자 500m 등에서 금메달을 비롯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2012년 스피드스케이팅 - 2012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2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네덜란드 헤이렌베인에서 개최된 국제 스피드스케이팅 대회로,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여러 종목에서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은 모태범과 이상화의 금메달 획득으로 종합 2위를 기록했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스피드스케이팅 대회 - 2009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9년 세계 종목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09년 3월 12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되었으며, 네덜란드가 금메달 4개로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했다. - 캐나다에서 개최된 스피드스케이팅 대회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은 2월 13일부터 27일까지 리치먼드 올림픽 오벌에서 12개의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가 메달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고 특히 대한민국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05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05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2005년에 개최되었으며, 14개국 63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를 진행, 에르번 베네마르스와 제니퍼 로드리게스가 각각 우승했다. -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013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2013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남녀 선수들이 500m와 1000m 경기를 두 번씩 치러 총점으로 순위를 가리는 국제 스피드 스케이팅 대회로, 남자부 우승은 미하엘 그로이스, 여자부 동메달은 이상화 선수가 차지했다.
2012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종목 | 스피드 스케이팅 |
대회 |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 | |
개최 기간 | 2012년 1월 28일 - 2012년 1월 29일 |
개최지 | 캐나다 캘거리 올림픽 오벌 |
참가 선수 | 남자 34명, 여자 28명 |
이전 대회 | 2011년 헤이렌베인 |
다음 대회 | 2013년 솔트레이크시티 |
남자 결과 | |
금메달 | 스테판 그루트하위스 |
은메달 | 이규혁 |
동메달 | 모태범 |
금메달 국가 | 네덜란드 |
은메달 국가 | 대한민국 |
동메달 국가 | 대한민국 |
여자 결과 | |
금메달 | 위징 |
은메달 | 크리스틴 네스빗 |
동메달 | 장훙 |
금메달 국가 | 중국 |
은메달 국가 | 캐나다 |
동메달 국가 | 중국 |
2. 경기 결과
2012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부 | ||||||||||
---|---|---|---|---|---|---|---|---|---|---|
순위 | 이름 | 나라 | 500m (1) | 1000m (1) | 500m (2) | 1000m (2) | 합계 | 차이 | ||
스테판 흐로투이스 | 네덜란드 | 34.84 | 1:07.50 | 34.74 | 1:06.98 | 136.820 | ||||
이규혁 | 대한민국 | 34.33 | 1:08.01 | 34.67 | 1:07.99 | 137.000 | +0.18 | |||
모태범 | 대한민국 | 34.67 | 1:07.99 | 34.42 | 1:07.99 | 137.080 | +0.26 | |||
이하 생략 |
여자부 | ||||||||||
---|---|---|---|---|---|---|---|---|---|---|
순위 | 이름 | 국적 | 500m (1) | 1000m (1) | 500m (2) | 1000m (2) | 종합 점수 | |||
위징 | 于静|위징중국어 | 37.13 | 1:13.97 | 36.94 | 1:13.63 | 147.870 | ||||
크리스틴 네스빗 | Christine Nesbitt|크리스틴 네스빗영어 | 37.93 | 1:12.68 | 37.89 | 1:12.94 | 148.670 | ||||
장훙 | 张虹|장훙중국어 | 37.63 | 1:14.44 | 37.87 | 1:13.97 | 149.705 | ||||
이하 생략 |
남자부에서는 네덜란드의 스테판 흐로투이스가 종합 136.820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신기록을 경신했다.[5] 대한민국의 이규혁과 모태범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차지하며 스피드 스케이팅 강국임을 입증했다.
여자부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위징이 종합 148.610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500m 2차 레이스에서 36.94초로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1] 캐나다의 크리스틴 네스빗은 1000m 1차 레이스에서 1:12.68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은메달을 차지했다.[1]
2. 1. 남자부
2012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남자부 경기에서는 네덜란드의 스테판 흐로투이스가 종합 136.810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신기록을 경신했다.[5] 이전 세계 기록은 제러미 워더스푼이 2003년에 세운 137.230점이었다.[2] 이규혁은 137.000점으로 은메달, 모태범은 137.080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하여 대한민국은 스피드 스케이팅 강국임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순위 | 이름 | 나라 | 500m (1) | 1000m (1) | 500m (2) | 1000m (2) | 합계 | 차이 |
---|---|---|---|---|---|---|---|---|
스테판 흐로투이스 | 네덜란드 | 34.84 | 1:07.50 | 34.74 | 1:06.98 | 136.820 | ||
이규혁 | 대한민국 | 34.33 | 1:08.01 | 34.67 | 1:07.99 | 137.000 | +0.18 | |
모태범 | 대한민국 | 34.67 | 1:07.99 | 34.42 | 1:07.99 | 137.080 | +0.26 | |
4 | 미카 포우탈라 | 핀란드 | 34.62 | 1:08.20 | 34.38 | 1:08.34 | 137.270 | +0.45 |
5 | 샤니 데이비스 | 미국 | 35.16 | 1:07.25 | 35.03 | 1:07.11 | 137.360 | +0.54 |
6 | 드미트리 롭코프 | 러시아 | 34.46 | 1:08.10 | 34.71 | 1:08.40 | 137.420 | +0.60 |
7 | 헤인 오터스피어 | 네덜란드 | 34.72 | 1:08.54 | 34.48 | 1:08.08 | 137.510 | +0.69 |
8 | 가토 조지 | 일본 | 34.56 | 1:09.08 | 34.35 | 1:08.68 | 137.790 | +0.98 |
9 | 제이미 그레그 | 캐나다 | 34.69 | 1:09.13 | 34.48 | 1:08.24 | 137.855 | +1.05 |
10 | 문세프 우아르디 | 캐나다 | 34.54 | 1:09.06 | 34.69 | 1:08.57 | 138.045 | +1.24 |
11 | 알렉세이 예신 | 러시아 | 35.26 | 1:08.51 | 34.77 | 1:07.84 | 138.205 | +1.40 |
12 | 아르툠 쿠즈네초프 | 러시아 | 34.92 | 1:09.27 | 34.63 | 1:08.77 | 138.570 | +1.76 |
13 | 데니 모리슨 | 캐나다 | 35.25 | 1:08.05 | 35.20 | 1:08.28 | 138.615 | +1.81 |
14 | 아르투르 바스 | 폴란드 | 34.89 | 1:09.21 | 34.61 | 1:09.44 | 138.825 | +2.02 |
15 | 오이카와 유야 | 일본 | 34.85 | 1:10.07 | 34.43 | 1:09.54 | 139.085 | +2.28 |
16 | 스요르드 데 브리스 | 네덜란드 | 35.53 | 1:09.45 | 35.01 | 1:07.72 | 139.125 | +2.32 |
17 | 하랄즈 실로브스 | align=left| | 35.56 | 1:08.31 | 35.55 | 1:07.98 | 139.255 | +2.45 |
18 | 핌 시퍼 | 네덜란드 | 35.72 | 1:08.87 | 35.18 | 1:08.32 | 139.495 | +2.69 |
19 | 사무엘 슈바르츠 | 독일 | 35.65 | 1:09.02 | 35.16 | 1:08.50 | 139.570 | +2.76 |
20 | 에스펜 아르네스 흐바멘 | 노르웨이 | 35.16 | 1:09.03 | 35.19 | 1:09.54 | 139.635 | +2.83 |
21 | 미르코 자코모 넨지 | 이탈리아 | 35.63 | 1:08.80 | 35.15 | 1:09.42 | 139.890 | +3.08 |
22 | 데니스 쿠진 | 카자흐스탄 | 35.80 | 1:08.65 | 35.58 | 1:08.55 | 139.980 | +3.17 |
23 | 하가 료헤이 | 일본 | 35.10 | 1:10.48 | 34.84 | 1:09.69 | 140.025 | +3.22 |
24 | 뱅자맹 마세 | 프랑스 | 36.04 | 1:08.41 | 36.35 | 1:09.12 | 141.155 | +4.35 |
NQ25 | 로만 크레치 | 카자흐스탄 | 34.91 | 1:09.05 | 34.97 | |||
NQ26 | 다니엘 그레그 | 오스트레일리아 | 35.54 | 1:09.38 | 34.99 | |||
NQ27 | 이기호 | 대한민국 | 35.17 | 1:10.47 | 35.04 | |||
NQ28 | 에르마노 이오라티 | 이탈리아 | 35.26 | 1:09.97 | 35.22 | |||
NQ29 | 호바르 홀메피오르 로렌첸 | 노르웨이 | 35.66 | 1:09.16 | 35.72 | |||
NQ30 | 데니 일레 | 독일 | 35.23 | 1:10.78 | 35.43 | |||
NQ31 | 미첼 휘트모어 | 미국 | 35.59 | 1:10.20 | 35.78 | |||
NQ32 | 브람 스몰렌브로크 | 오스트리아 | 37.09 | 1:11.02 | 36.71 | |||
NQ33 | 마리우스 파라쉬보이우 | 루마니아 | 35.89 | 1:11.64 | ||||
NQ34 | 이강석 | 대한민국 | 35.11 |
NQ = 2차 1000m 출전 자격 미달 (상위 24명만 출전)
DQ = 실격
2. 1. 1. 주요 대한민국 선수
이규혁은 500m 1차에서 34.33초, 1000m 1차에서 1:08.01초, 500m 2차에서 34.67초, 1000m 2차에서 1:07.99초를 기록하여 종합 2위로 은메달을 획득했다.[2]모태범은 500m 1차에서 34.67초, 1000m 1차에서 1:07.99초, 500m 2차에서 34.42초, 1000m 2차에서 1:07.99초를 기록하여 종합 3위로 동메달을 획득했다.[2]
이기호와 이강석도 출전했으나, 상위 24위 안에 들지 못해 2차 1000m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이기호: 27위, 이강석: 34위)[2]
2. 2. 여자부
2012년 1월 28일부터 29일까지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2012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여자부 경기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위징이 종합 148.610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위징은 특히 500m 2차 레이스에서 36.94초로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1] 캐나다의 크리스틴 네스빗은 1000m 1차 레이스에서 1:12.68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종합 2위로 은메달을 차지했다.[1]순위 | 이름 | 국적 | 500m (1) | 1000m (1) | 500m (2) | 1000m (2) | 종합 점수 |
---|---|---|---|---|---|---|---|
1 | 위징 | 于静|위징중국어 | 37.13 (2) | 1:13.97 (8) | 36.94 (1) | 1:13.63 (6) | 147.870 |
2 | 크리스틴 네스빗 | Christine Nesbitt|크리스틴 네스빗영어 | 37.93 (13) | 1:12.68 (1) | 37.89 (11) | 1:12.94 (2) | 148.670 |
3 | 장훙 | 张虹|장훙중국어 | 37.63 (6) | 1:14.44 (10) | 37.87 (10) | 1:13.97 (9) | 149.705 |
4 | 마르곳 부르 | Margot Boer|마르곳 부르nl | 37.71 (7) | 1:14.48 (11) | 37.83 (8) | 1:14.04 (10) | 149.790 |
5 | 아네터 게리첸 | Annette Gerritsen|아네터 게리첸nl | 38.08 (17) | 1:13.67 (4) | 37.75 (6) | 1:13.67 (7) | 149.800 |
6 | 헤더 리처드슨 | Heather Richardson|헤더 리처드슨영어 | 37.90 (11) | 1:13.89 (7) | 37.90 (12) | 1:13.61 (5) | 149.850 |
7 | 예카테리나 아이도바 | Екатерина Айдова|예카테리나 아이도바ru | 37.56 (5) | 1:14.70 (14) | 37.57 (3) | 1:14.72 (14) | 149.860 |
8 | 이레인 뷔스트 | Ireen Wüst|이레인 뷔스트nl | 38.31 (22) | 1:13.38 (2) | 38.34 (22) | 1:12.99 (3) | 149.895 |
9 | 이상화 | 이상화한국어 | 37.12 (1) | 1:15.58 (21) | 37.36 (2) | 1:15.59 (22) | 150.065 |
10 | 왕베이싱 | 王北星|왕베이싱중국어 | 37.51 (4) | 1:15.47 (19) | 37.62 (4) | 1:14.91 (16) | 150.320 |
11 | 고다이라 나오 | 小平奈緒|고다이라 나오일본어 | 37.85 (9) | 1:14.55 (13) | 37.93 (14) | 1:14.73 (15) | 150.420 |
12 | 예카테리나 로비셰바 | Екатерина Лобышева|예카테리나 로비셰바ru | 38.23 (20) | 1:14.38 (9) | 38.23 (19) | 1:13.53 (4) | 150.425 |
13 | 톈루이닝 | 田芮宁|톈루이닝중국어 | 37.88 (10) | 1:15.22 (18) | 37.83 (8) | 1:14.46 (12) | 150.550 |
14 | 유디트 헤세 | Judith Hesse|유디트 헤세de | 38.16 (19) | 1:14.79 (15) | 38.13 (17) | 1:14.10 (11) | 150.735 |
15 | 올가 파트쿨리나 | Ольга Фаткулина|올가 파트쿨리나ru | 38.31 (22) | 1:14.52 (12) | 38.33 (21) | 1:14.52 (13) | 151.160 |
16 | 마리트 렌스트라 | Marrit Leenstra|마리트 렌스트라nl | 38.60 (26) | 1:13.62 (3) | 38.83 (26) | 1:13.89 (8) | 151.185 |
17 | 츠지 마키 | 辻麻希|츠지 마키일본어 | 37.91 (12) | 1:15.62 (22) | 37.79 (7) | 1:16.03 (23) | 151.525 |
18 | 예니 볼프 | Jenny Wolf|예니 볼프de | 37.35 (3) | 1:16.82 (26) | 37.68 (5) | 1:16.82 (26) | 151.850 |
19 | 브리트니 보 | Brittany Bowe|브리트니 보영어 | 38.46 (24) | 1:14.98 (16) | 38.48 (23) | 1:15.01 (17) | 151.935 |
20 | 미야코 스미요시 | 住吉都|미야코 스미요시일본어 | 38.11 (18) | 1:15.73 (23) | 38.22 (18) | 1:15.48 (21) | 151.935 |
21 | 김현영 | 김현영한국어 | 38.27 (21) | 1:15.95 (24) | 38.06 (16) | 1:15.45 (20) | 151.975 |
22 | 모니크 앙에르뮐러 | Monique Angermüller|모니크 앙에르뮐러de | 38.67 (27) | 1:15.11 (17) | 38.65 (24) | 1:15.12 (18) | 152.435 |
23 | 스베틀라나 랏케비치 | Святлана Радкевіч|스베틀라나 랏케비치be | 37.99 (15) | 1:17.11 (27) | 37.90 (12) | 1:17.09 (27) | 153.010 |
24 | 아나스타샤 부치스 | Anastasia Bucsis|아나스타샤 부치스영어 | 38.45 (23) | 1:15.54 (20) | 38.71 (25) | 1:16.38 (24) | 153.120 |
25 | 이보미 | 이보미한국어 | 38.57 (25) | 1:16.18 (25) | 38.23 (19) | DNS | 114.890 |
26 | 바네사 비트너 | Vanessa Bittner|바네사 비트너영어 | 37.99 (15) | 1:17.55 (28) | 38.05 (15) | DNS | 114.915 |
스프린트 부문에서는 모든 참가 선수가 500m와 1000m 경기를 각각 두 번씩 치른다. 단, 두 번째 1000m 경기에는 세 번의 경주(500m 두 번, 1000m 한 번)를 마친 후 종합 순위에 따라 상위 24명의 선수만이 진출한다.[3]
3. 경기 규칙
3. 1. 2차 1000m 진출 자격
모든 참가 선수는 500m와 1000m 경기를 각각 두 번씩 치른다. 두 번째 1000m 경기에는 상위 24명의 선수만 참가할 수 있다.[3] 24명의 선수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실격(DQ)이나 기권(DNS) 선수는 순위에서 제외된다.
# 500m와 1000m 두 순위 모두 상위 24위 안에 드는 선수는 자동 진출한다.
# 총 24명을 채우기 위해, 두 순위 중 더 좋은 순위를 기준으로 선수를 추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ISU Results Calgary
http://live.isuresul[...]
ISU
[2]
뉴스
"VK.nl Groothuis verbetert wereldrecord punten"
http://www.volkskran[...]
[3]
웹사이트
World records history women sprint samalog
http://skate.renevan[...]
2018-02-18
[4]
웹인용
ISU Results Calgary
http://live.isuresul[...]
ISU
[5]
뉴스
"VK.nl Groothuis verbetert wereldrecord punten"
http://www.volkskr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